본문 바로가기
🪴스마트팜

상추 (Lettuce): 수직 농장 환경에서의 광원 스펙트럼 및 양액 조성 최적화 전략

by yellow-brown 2025. 8. 6.

서론: 도시 농업의 핵심, 상추 수직 농장의 도전과 기회

수직 농장은 제한된 도시 공간에서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연중 생산할 수 있는 혁신적인 농업 모델입니다. 그중에서도 상추는 짧은 생육 주기, 높은 수요, 비교적 쉬운 재배 난이도 덕분에 수직 농장의 대표적인 작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단순히 층층이 쌓아 올리는 것을 넘어, 고품질의 상추를 대량으로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외부 환경과 단절된 수직 농장 특유의 재배 환경을 완벽하게 이해하고, 이를 작물의 생리적 요구에 맞춰 정밀하게 제어해야 합니다. 특히 광원 스펙트럼, 광주기, 광량 설정양액의 pH 및 EC(전기 전도도) 관리, 나아가 소비자 건강과 직결되는 질산염 축적 저감 방안은 수직 농장 상추 재배의 성공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상추 품종별 최적 생육을 위한 이들 변수들의 정밀 제어 전략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1. 광원 스펙트럼 및 광량 최적화: 상추 생장의 빛의 비밀

수직 농장에서 태양광을 대체하는 인공광원, 주로 LED는 상추의 생육과 품질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단순히 밝기를 조절하는 것을 넘어, 빛의 파장(스펙트럼)과 총 광량을 작물의 생리적 반응에 맞춰 최적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적색광(Red Light)과 청색광(Blue Light) 비율: 상추를 포함한 대부분의 식물은 광합성에 주로 적색광(600-700nm)과 청색광(400-500nm)을 활용합니다.
    • 적색광: 광합성 효율이 가장 높은 파장으로, 식물 생체량 증가와 신장 생장에 크게 기여합니다.
    • 청색광: 기공 개폐, 엽록소 형성, 줄기의 단단한 성장(키다리 억제), 2차 대사산물 생성(색과 향)에 중요한 영향을 미칩니다.
    • 최적 비율: 일반적으로 상추의 경우 적색광 대 청색광 비율을 7:1에서 9:1 사이로 설정했을 때 가장 좋은 생육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많습니다. 하지만 품종에 따라 최적의 비율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붉은색 상추 품종은 안토시아닌 색소 발현을 위해 청색광의 비율을 약간 높이거나, 녹색 상추는 청색광 비율을 낮춰 생체량 증가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 녹색광(Green Light)과 원적색광(Far-Red Light)의 역할: 과거에는 무시되었던 녹색광과 원적색광도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 녹색광: 식물 잎 내부로 더 깊이 침투하여 하부 잎의 광합성을 돕고, 특정 조건에서는 수확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또한, 사람 눈에 가장 편안한 빛으로 작업 환경 개선에도 기여합니다.
    • 원적색광: 피토크롬 시스템에 영향을 미쳐 줄기 신장, 개화, 피하는 빛 반응(그늘 회피) 등에 관여합니다. 적색광과 함께 사용 시 작물의 성장을 촉진하는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 광량 (PPFD: Photosynthetic Photon Flux Density): 작물의 광합성에 실제로 이용되는 빛의 양을 나타내는 PPFD는 상추의 생육 속도와 직결됩니다. 어린 모종 단계에서는 낮은 PPFD(100-150 μmol/m²/s)로 시작하여 생육이 진행될수록 점차 증가시켜 최대 200-300 μmol/m²/s까지 공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과도한 광량은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품종별 최적 광량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광주기 (Photoperiod): 상추는 장일 식물이지만, 수직 농장에서는 광합성 효율을 극대화하고 생장 주기를 단축하기 위해 16-18시간의 긴 광주기를 적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연속 광 조사는 일부 품종에서 팁번(Tip-burn, 잎끝마름병)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암기(dark period)를 두어 호흡과 휴식을 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스마트 팜은 센서를 통해 실시간으로 광량을 측정하고, AI 기반 제어 시스템으로 LED 조명의 스펙트럼과 강도, 광주기를 자동 조절하여 상추의 생육 단계별로 최적의 빛 환경을 제공합니다.

2. 양액 조성 및 관리: 뿌리 환경의 균형 유지

수직 농장에서 토양을 대체하는 **양액(Nutrient Solution)**은 상추 생장에 필요한 모든 영양분을 공급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양액의 pH(산도)와 EC(전기 전도도) 관리는 작물이 영양분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고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pH (산도) 관리: 양액의 pH는 작물이 영양분을 흡수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대부분의 상추 품종은 약산성 환경(pH 5.5~6.5)에서 영양분 흡수율이 가장 높습니다.
    • 문제점: pH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특정 영양분(예: 철, 망간 등 미량 원소는 pH가 높으면 흡수 저해, 칼슘, 마그네슘 등은 pH가 낮으면 흡수 저해)이 불용성으로 변해 작물이 흡수할 수 없게 되어 생육 불량이나 영양 결핍 증상이 나타납니다.
    • 최적화 전략: 센서로 pH를 실시간 측정하고, 산(질산, 인산 등)이나 염기(수산화칼륨 등) 용액을 자동으로 주입하여 pH를 적정 범위로 유지합니다. AI는 작물의 생육 단계와 양분 흡수 패턴을 학습하여 pH 변동을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 EC (전기 전도도) 관리: EC는 양액 내에 녹아 있는 전체 이온(염분)의 농도를 나타내며, 이는 작물이 흡수할 수 있는 영양분의 총량을 의미합니다.
    • 최적 범위: 상추 품종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EC 1.2~1.8 dS/m 범위에서 가장 좋은 생육을 보입니다. 어린 모종 단계에서는 낮은 EC로 시작하여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높여줍니다.
    • 문제점: EC가 너무 낮으면 영양 결핍으로 생장이 저해되고, 너무 높으면 작물이 수분을 흡수하기 어려워 스트레스를 받고 팁번(잎끝마름)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최적화 전략: EC 센서로 실시간 측정하고, 작물의 증산량과 영양분 흡수량을 고려하여 농축 양액과 물을 자동으로 혼합하여 공급합니다. 양액 공급 시스템은 순환식 또는 비순환식으로 운영되며, 순환식의 경우 주기적인 양액 교체 및 보충을 통해 영양분 균형을 유지해야 합니다.
  • 질산염 축적 저감 방안: 상추는 질산염(Nitrate)을 많이 흡수하는 작물 중 하나이며, 질산염은 체내에서 아질산염으로 전환되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수직 농장에서는 이를 저감하기 위한 전략이 중요합니다.
    • 수확 전 질산염 저감 기간: 수확 2~3일 전부터 질산염이 포함된 영양액 공급을 중단하고, 질산염이 없는 물만 공급하여 작물 체내의 질산염을 소비하게 합니다.
    • 질소원 조절: 양액 내 질소원 중 질산태 질소(NO3-)의 비율을 낮추고, 암모늄태 질소(NH4+)의 비율을 약간 높여 질산염 흡수를 억제합니다. (단, 암모늄태 질소의 비율이 너무 높으면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주의).
    • 광량 및 CO2 조절: 충분한 광량과 CO2 공급은 작물의 광합성을 촉진하여 질산염을 아미노산 및 단백질로 전환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질산염 축적을 줄일 수 있습니다.
    • 품종 선택: 질산염 축적량이 적은 상추 품종을 선택하는 것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스마트 팜 시스템은 센서 데이터를 기반으로 pH와 EC를 정밀하게 제어하고, 질산염 저감을 위한 양액 공급 스케줄을 자동화하여 고품질의 안전한 상추를 생산하도록 돕습니다.

3. 다양한 상추 품종별 맞춤형 전략: 맞춤복처럼 정교하게

상추는 로메인, 버터헤드, 잎상추(청상추, 적상추), 아이스버그 등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각 품종은 형태, 식감, 영양 성분뿐만 아니라 환경 요구 조건에도 미묘한 차이를 보입니다. 스마트 팜은 이러한 품종별 특성을 데이터화하고, 그에 맞는 맞춤형 재배 레시피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합니다.

  • 광원 스펙트럼의 미세 조정: 붉은색 상추 품종은 안토시아닌 발현을 위해 특정 파장(예: UV-A 또는 더 높은 청색광 비율)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맞춰 LED 스펙트럼을 조절하여 색감을 더욱 선명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 온도 및 습도 관리: 버터헤드 상추는 비교적 서늘하고 습한 환경을 선호하는 반면, 로메인 상추는 좀 더 따뜻한 환경에서도 잘 자랄 수 있습니다. 품종별 최적 생육 온습도 구간을 설정하고 스마트 팜이 이를 정밀하게 제어합니다.
  • 양액 조성의 변화: 품종별 영양분 흡수율과 생장 속도에 맞춰 양액의 농도(EC)와 특정 미량 원소의 비율을 미세하게 조절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품종이 칼슘 결핍에 취약하다면, 양액 내 칼슘의 농도를 섬세하게 관리하는 것입니다.
  • 생육 주기 관리: 품종별로 생장 속도와 수확 시기가 다르므로, 이에 맞춰 광주기, 양액 공급 스케줄 등을 최적화하여 짧은 시간 내에 고품질의 상추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합니다.

AI는 수많은 품종별 재배 데이터와 생육 결과를 학습하여 각 품종에 대한 최적의 재배 레시피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이를 실제 농장에 적용하여 생산 효율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수 있습니다.

결론: 데이터와 기술이 빚어내는 완벽한 상추

상추 수직 농장은 단순히 공간의 효율성을 넘어, 광원 스펙트럼 및 광량, 양액의 pH/EC 관리, 질산염 축적 저감이라는 핵심 변수들을 스마트 팜 기술로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그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합니다. 각 상추 품종의 미묘한 생리적 요구까지 충족시키는 맞춤형 전략은 고품질의 상추를 안정적으로, 그리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생산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미래의 수직 농장은 인공지능이 이러한 모든 변수를 실시간으로 학습하고 자율적으로 제어하며, '완벽한 상추'를 위한 최적의 재배 레시피를 끊임없이 진화시켜 나갈 것입니다. 이는 소비자에게는 안전하고 신선한 먹거리를, 농업인에게는 효율적이고 수익성 높은 새로운 농업 모델을 제공하며, 도시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식량 생산의 새로운 시대를 열어갈 것입니다.